1. 자료 불러오기
import os, re
os.chdir(r'C:\Users\user\Desktop\매일해야 하는것')
f = open('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(법률)(제18310호)(20220721).txt', 'r', encoding = 'utf-8')
import os, re : 텍스트 파일을 불러오기 위한 모듈
os.chdir(r'파일위치') : 텍스트 파일이 있는 위치가져옴
f = open('파일명', '읽기유형', encoding = '인코딩 형식') :
- 첫번째 : '파일명'
- 두번째 ; 새로쓸건지, 읽을건지, 내용을 추가할건지 여부를 입력
'w' 입력시 | 파일을 새로씀 |
'r' 입력시 | 파일을 읽음 |
'a' 입력시 | 내용을 추가함 |
- 세번째 : 인코딩형식을 지정
2. 자료 읽기< read line() >
import os, re
os.chdir(r'C:\Users\user\Desktop\매일해야 하는것')
f = open('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(법률)(제18310호)(20220721).txt', 'r', encoding = 'utf-8')
for i in range(5):
print(f.readline())
read line() : 파일의 한줄을 가져와 문자열로 변환
- txt의 문자열 한줄한줄씩 문자로 불러온다.
첫번째 부터 5번째줄을 불러오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.
for i in range(5) : print(f.readline()) |
위의 for 문 같은 경우 맨윗줄부터 5줄까지를 출력
txt본문은 아래와 같음
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( 약칭: 국토계획법 ) [시행 2022. 7. 21.] [법률 제18310호, 2021. 7. 20., 타법개정] 국토교통부(도시정책과-개발행위) 044-201-4724, 3717, 3707 |
코드 실행결과는 아래와 같음
range 가 5 이므로 5줄이 프린트됨
3. 자료 읽기< read lines() >
#1
import os, re
os.chdir(r'C:\Users\user\Desktop\매일해야 하는것')
f = open('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(법률)(제18310호)(20220721).txt', 'r', encoding = 'utf-8')
for i in range(5):
print(f.readline())
# 커서가 5번쨰줄 뒤로 가서 lines 에는 5번쨰줄 뒷부분 부터 입력됨
lines = f.readlines()
print(lines[:2])
read lines() : 파일내용 전체를 가져와 리스트로 변환
readline과 다르게 파일내용 전체를 리스트 형식으로 반환. 각줄이 하나의 리스트 요소가 된다.
위의 경우 앞서 for i in range(5): print(f.readline())을 통해 txt파일의 커서가 5줄 뒤로 이동되었다.
따라서 lines의 요소 2개를 출력한다면 txt파일의 6행과 7행의 내용이 담긴 요소가 프린트 된다.
원본은 아래와 같으며
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( 약칭: 국토계획법 ) [시행 2022. 7. 21.] [법률 제18310호, 2021. 7. 20., 타법개정] 국토교통부(도시정책과-개발행위) 044-201-4724, 3717, 3707 국토교통부(도시정책과-도시군계획시설) 044-201-4843, 3725, 4972 국토교통부(도시정책과-용도지역) 044-201-3712, 3709 |
출력결과는 아래와 같다.
'프로그래밍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명령어/ 기초구문 (0) | 2023.11.21 |
---|---|
파이썬 함수(def)에서 괄호의 의미 (0) | 2023.11.15 |
파이썬 클래스 - 사용 시 주의 사항 (0) | 2023.11.15 |
파이썬 4cam 으로 동영상 재생하는 코드 (0) | 2023.11.09 |
(Python)파이썬에서 Xml 파싱(1) - 태그 조회와 태그개수 읽기 (0) | 2022.08.08 |